맨위로가기

Enjoy Yourself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njoy Yourself》는 1989년 10월에 발매된 카일리 미노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버블검 팝, 신스팝, 댄스 팝, 디스코 등의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낭만적인 관계를 주제로 다룬다. 앨범 발매와 함께 프로모션을 위해 디스코 인 드림 투어와 Enjoy Yourself 투어를 진행했다. 싱글 "Hand on Your Heart", "Wouldn't Change a Thing", "Never Too Late", "Tears on My Pillow" 등이 발매되었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영국에서 1위를 기록하고, 전 세계적으로 7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일리 미노그의 음반 - Kylie Minogue
    카일리 미노그의 1994년 동명 앨범 《Kylie Minogue》는 댄스팝 기반에 R&B와 어덜트 컨템포러리 요소를 결합한 다양한 스타일, 성숙해진 보컬, 이미지 변신을 통해 영국과 호주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음악 경력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카일리 미노그의 음반 - Kylie Christmas
    카일리 미노그의 첫 크리스마스 앨범인 Kylie Christmas는 EDM, 팝, 디스코 요소가 담긴 앨범으로 커버곡과 오리지널 트랙이 수록된 스탠다드 에디션과 새로운 트랙이 추가된 Snow Queen Edition으로 발매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9년 음반 - One (비지스의 음반)
    비지스의 1989년 앨범 《One》은 유럽에서 성공한 《E.S.P.》 이후 제작되었고 앤디 깁 사망 후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우울한 분위기 속에서 "Wish You Were Here"라는 곡으로 그를 기리고 있다.
  • 1989년 음반 - Oh Mercy
    밥 딜런의 26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Oh Mercy는 다니엘 라노이스의 프로듀싱으로 딜런이 작곡하고 뉴올리언스에서 녹음하여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딜런의 컴백 앨범으로 여겨진 앨범이다.
Enjoy Yourself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즐겁게 보내세요
종류정규 음반
가수카일리 미노그
발매일1989년 10월 9일
재발매일2012년 11월 7일
녹음1989년 2월 ~ 7월
스튜디오PWL
장르댄스 팝
버블검 팝
신스팝
디스코
길이32분 56초 (월드 와이드)
길이 (미국)36분 57초
레이블PWL
Mushroom
Geffen
프로듀서Stock Aitken Waterman
이전 음반카일리 (1988년)
다음 음반리듬 오브 러브 (1990년)
카일리 미노그가 검정색 블라우스를 입고 금색 모자를 쓴 채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제 커버
싱글
싱글 1핸드 온 유어 하트
싱글 1 발매일1989년 4월 24일
싱글 2원트 체인지 어 씽
싱글 2 발매일1989년 7월 24일
싱글 3네버 투 레이트
싱글 3 발매일1989년 10월 23일
싱글 4티어스 온 마이 필로우
싱글 4 발매일1990년 1월 8일
차트 성적
영국1위

2. 배경 및 녹음

카일리 미노그는 1986년 인기 드라마 ''이웃집 찰스''에서 차고 수리공이 된 여학생 찰린 로빈슨 역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1] 1988년 데뷔 앨범 《Kylie》를 발매하며 팝 아티스트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시작했다.[6] 1989년 2월, 미노그는 런던의 PWL 스튜디오에서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SAW)과 함께 두 번째 앨범 《Enjoy Yourself》 작업을 시작했다.[10] 프로듀서 피트 워터맨은 첫 번째 앨범의 성공에 이어 "마치 러닝머신을 타면서 즐기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12] 미노그는 영화 ''The Delinquents'' 촬영과 앨범 작업을 병행하며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13][15] 7월 마지막 세션에서 "Never Too Late"를 녹음했다.[18]

2. 1. 영화 《The Delinquents》와의 연관성

3. 음악 스타일 및 가사

《Enjoy Yourself》는 전작보다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는데, 버블검 팝, 신스팝, 댄스 팝, 디스코 앨범으로 묘사되었다.[21] 앨범의 주제는 낭만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한다.[21] 스톡은 노래에 "추가적인 공명과 심오함"을 주기 위해 낭만적인 관계에 대한 단순한 가사를 썼다고 밝혔다.[12]

폴 매카트니(1980년 촬영)의 작품은 "Tell Tale Signs"와 "My Secret Heart"에 영향을 주었다.


소울 음악에서 영감을 얻은 "Hand on Your Heart"는 관계에서의 정직함과 소통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비트가 강한 곡이다.[26] 이 곡은 Ten City의 "That's the Way Love Is"(1989)와 The Isley Brothers의 "This Old Heart of Mine (Is Weak for You)"(1966) 싱글에서 영감을 받았다.[12] "Wouldn't Change a Thing"은 아무도 이해할 수 없더라도 누군가를 믿는 것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27] "Never Too Late"는 미노그의 낙천적인 철학을 따른다.[27]

"Tell Tale Signs"는 재즈 지향적인 블루스와 현악기가 풍부한 토치 송으로, 미노그는 관계가 무너지는 징후를 깨닫는다.[30] 변칙적인 바로크 팝 "My Secret Heart"는 특이한 리듬, 조바꿈, 끊어지는 첼로 소리, 그리고 경쾌한 가사를 담고 있다.[31] 평론가들은 "Tell Tale Signs"와 "My Secret Heart"를 모두 폴 매카트니의 작품과 비교했다.[31] 멜로디컬한 "Heaven and Earth"는 환경 문제에 대한 미노그의 시각을 보여주며, 사람들에게 환경을 보존하고 보호할 것을 장려한다.[33]

4. 발매 및 홍보

《Enjoy Yourself》는 1989년 10월 9일 영국에서 PWL에 의해 발매되었고,[40] 1989년 11월 6일에는 호주에서 Mushroom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다.[132] 일본에서는 11월에 엽서, 스티커, 가사집이 포함된 한정판으로 발매되었다.[41] 1990년 북미에서는 Geffen Records에서 다른 아트워크와 보너스 트랙 "Especially for You"를 포함하여 발매하였다.[42]

음반 발매 주간 동안, 텔레비전, 십대 잡지, 음악 신문에 25만 파운드의 광고 캠페인이 지원되었다.[49] 1989년 10월, 미노그는 첫 번째 콘서트 투어인 디스코 인 드림을 시작하여, 《''Kylie''》와 《''Enjoy Yourself''》의 여러 곡을 공연했다.[50] 이 투어는 일본에서 시작되어 도쿄 돔에서 3만 8천 명의 팬 앞에서 공연했다.[51] 그 후 그녀는 PWL 레이블의 다른 아티스트들과 함께 영국에서 열 개의 극장 투어에 참여하여 17만 명의 팬을 모았다.[52] 이 투어는 영국에서 지역 라디오 방송국의 후원을 받아 The Hitman Roadshow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3]

1990년 2월부터 5월까지 미노그는 Enjoy Yourself Tour를 시작했다. 그녀는 2월에 고국인 호주에서 3번의 공연을 했으며, 회당 10,000장의 티켓 판매로 3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54] 이 투어는 나중에 4월과 5월에 유럽과 동남아시아로 확장되었다.[54] 유럽 공연의 첫 번째 도시인 버밍엄에서의 그녀의 공연은 Resorts World Arena에서 12,700명의 팬을 끌어모았다.[55]

미노그가 마이크를 들고, 남자 댄서에게 기대어 왼쪽을 보고 있다
미노그가 바꿀 수 없어요 싱글을 골든 투어 (2018–19) 콘서트 중 하나에서 공연하고 있다

4. 1. 싱글

"Hand on Your Heart"는 1989년 4월에 발매되어 UK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62] 이 곡은 관계에서의 정직함과 소통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Ten City의 "That's the Way Love Is"(1989)와 The Isley Brothers의 "This Old Heart of Mine (Is Weak for You)"(1966) 싱글에서 영감을 받았다.[12] B-사이드 트랙은 "Just Wanna Love You"였다.[59] 멜버른에서 촬영된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고, 미노그가 스튜디오 세트에서 춤을 추는 모습이 담겼다.[60]

"Wouldn't Change a Thing"은 1989년 7월에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어 UK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다.[65] 이 곡은 누군가를 믿는 것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27] 미노그가 영국에서 촬영한 첫 번째 뮤직 비디오가 함께 공개되었다.[64]

"Never Too Late"는 1989년 10월에 발매되어 UK 싱글 차트 4위에 올랐다.[68] 이 곡은 미노그의 낙천적인 철학을 따른다.[27] B-사이드는 ''Kylie''의 곡들을 메가믹스한 "Kylie's Smiley Mix"였다.[67] 뮤직 비디오는 미노그가 카우걸, 70년대 디스코 댄서, 손 부채를 든 중국 여성, 1920년대 플래퍼 등 다양한 의상을 입은 모습을 보여준다.[69]

Johnny Nash의 1975년 레게 히트곡을 리메이크한 "Tears on My Pillow"는 1990년 1월에 발매되어 UK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71] 미노그는 자신의 버전을 "듣기 쉽고 부드러운" 곡이며 원곡에 상당히 충실하다고 생각했다.[32] 12" 싱글은 B-사이드 "We Know the Meaning of Love"와 함께 발매되었다.[72]

"Never Too Late"와 "Tears on My Pillow"는 호주와 네덜란드에서도 20위 안에 들었다.[73]

미노그가 2014년 11월 셰필드에서 열린 Kiss Me Once 투어 동안 "Enjoy Yourself", "Hand on Your Heart" 및 "Never Too Late"의 메들리를 공연하고 있다

5. 평가

《Enjoy Yourself》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많은 평론가들이 이 앨범을 미노그의 데뷔 앨범과 비교했다.[78] 숀 스미스와 피플 잡지 직원들은 이 앨범을 《카일리》의 상상력 없는 연장선이라고 묘사했으며, 그 결과는 그저 "또 다른 샬린 앨범"이었다고 평했다.[78] 스매시 히츠의 리처드 로우와 디지털 스파이의 닉 레빈은 강렬한 곡들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이 데뷔 앨범보다 더 다양한 면을 보여주며 미노그가 "가장 순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언급했다.[79] 넘버 원의 콜린 어윈은 이 앨범을 다른 전형적인 SAW 제작 트랙에서 벗어난 미노그의 변신이라고 칭했다.[28] 올뮤직의 크리스 트루는 이 앨범이 그녀의 데뷔 앨범의 훌륭한 후속작이라고 평가하며, 프로듀서들이 "그들이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었고 [미노그]를 대중의 시선 속에 유지하는 곡을 만들었다"고 말했다.[80]

몇몇 평론가들은 앨범의 프로덕션과 미노그의 참여 부족을 비판했다. 롤링 스톤의 아리온 버거는 가수의 형편없는 보컬을 일축하며, 그녀가 어떤 예술적 혁신을 보여주기에는 갈 길이 멀다고 언급했다.[81] 피플 잡지는 프로듀서들이 미노그를 압도했으며, 그녀를 "회색 잡음 기계의 톱니바퀴"라고 묘사했다.[82] 2015년 리뷰에서 팝매터스의 조 스위니는 이 앨범을 더 야심 찬 프로덕션으로 평가하며 미노그의 보컬이 이전보다 특히 강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그 결과가 "예술적 성장의 지저분한 기록"처럼 들린다고 느꼈다.[83] 시카고 트리뷴의 케이틀린 오코너 크리비와 빌보드의 평론가는 이 앨범을 시기상조하고 평범하다고 평가하면서 컴퓨터로 생성된 곡들을 비판했다.[84]

2018년 리뷰에서 슬랜트 매거진의 살 신케마니는 《Enjoy Yourself》가 《Kylie》의 음향 템플릿을 밀접하게 반복하고 "Hand on Your Heart"를 이질적인 리드 싱글로 비판했다. 그는 이 앨범을 미노그의 두 번째 최악의 스튜디오 앨범으로 묘사했다.[85] 30주년 기념으로 이 앨범을 리뷰하면서, 맷 호터는 미노그의 이전 앨범에서 부족했던 성숙함을 언급했다. 그는 미노그가 이제는 클래식으로 인정받는 팝 앨범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결론지었다.[86] 대중음악 백과사전 (2011)에서 영국 작가 콜린 라킨은 미노그의 데뷔 앨범과 마찬가지로 별 다섯 개 중 세 개를 주며 "추천"할 만하고 듣기 좋은 앨범으로 분류했다.[87] 1990년 ARIA 뮤직 어워드에서 미노그는 《Enjoy Yourself》로 최우수 여성 아티스트 후보에 올랐고, 공로상을 수상했다.[88] "Never Too Late"의 뮤직 비디오는 제32회 로지 어워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뮤직 비디오 상을 수상했으며, 이 부문에서 그녀의 두 번째 수상이었다; 그녀는 이전에 1988년에 "The Loco-Motion"으로 수상했다.[89]

출판평론가평가
올뮤직크리스 트루[80]
캘거리 헤럴드C−[74]
시카고 트리뷴케이틀린 오코너 크리비[75]
디지털 스파이닉 레빈[23]
대중음악 백과사전콜린 라킨[87]
팝매터스조 스위니[83]
Q[76]
롤링 스톤아리온 버거[81]
스매시 히츠리처드 로우[77]


6. 상업적 성과

''Enjoy Yourself''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1위로 데뷔하여 16주 동안 10위 안에 머물렀다.[90] 발매 이틀 만에 영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발매 후 10주 만에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92] 1989년 영국에서 6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었다.[93] 2015년에 재발매되어 영국 음반 차트 94위로 다시 진입했다.[94]

호주에서는 15위로 데뷔한 후, 2주차에 9위에 도달했다.[95] 1990년 1월에 호주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96] 뉴질랜드에서는 16위로 데뷔하여 3주 후 6위로 정점을 찍었다.[97] 1990년 6월 레코딩 뮤직 NZ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98]

일본에서 ''Enjoy Yourself''는 미노그의 첫 오리콘 앨범 차트 10위권 진입 앨범으로, 7위를 기록했다.[99] 1989년 11월에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으며,[100] 전 세계적으로 7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핀란드, 프랑스, 스위스에서도 30위권 안에 들었다.[101]

1989년 ''Enjoy Yourself'' 차트 성적
차트 (1989년)최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95]9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50 왈로니아)[107]3
네덜란드 앨범 (앨범 탑 100)[108]50
유럽 앨범 (Music & Media)[109]6
핀란드 앨범 (수오멘 버릴리넨 리스타)[110]12
프랑스 앨범 (SNEP)[111]24
독일 앨범 (오피치엘레 톱 100)[112]33
그리스 앨범 (IFPI)[107]2
아일랜드 앨범 (IFPI)[113]1
일본 앨범 (오리콘)[99]7
뉴질랜드 앨범 (RMNZ)[97]6
스페인 앨범 (AFYVE)[114]16
스웨덴 앨범 (Sverigetopplistan)[115]33
스위스 앨범 (슈바이처 히트파라데)[116]13
영국 앨범 (OCC)[117]1
영국 독립 앨범 (MRIB)[118]2



2015년 ''Enjoy Yourself'' 차트 성적
차트 (2015년)최고
순위
영국 앨범 (OCC)[94]94



1989년 ''Enjoy Yourself''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89년)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19]96
유럽 앨범 (Music & Media)[120]91
프랑스 앨범 (SNEP)[121]80
영국 앨범 (OCC)[122]6



1990년 ''Enjoy Yourself''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90년)순위
유럽 앨범 (Music & Media)[123]90
영국 앨범 (OCC)[124]90


7. 트랙리스트

모든 곡은 마이크 스톡, 맷 에이트킨, 피트 워터맨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 및 편곡했으며, "Tears on My Pillow"는 실베스터 브래드퍼드와 알 루이스가 작사했다.[103]

'''표준 버전'''[103]


  • 거짓된 하트 (Hand On Your Heart)
  • 언제나 러브 유 (Wouldn't Change A Thing)
  • Never Too Late
  • Nothing To Lose
  • Tell Tale Signs
  • My Secret Heart
  • I'm Over Dreaming (Over You) (드리밍)
  • Tears On My Pillow
  • Heaven And Earth
  • Enjoy Yourself


'''북미 버전'''[104]

북미 버전에는 제이슨 도노반과의 듀엣곡 "Especially for You"가 6번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 Hand on Your Heart
  • Wouldn't Change a Thing
  • Never Too Late
  • Nothing To Lose
  • Tell Tale Signs
  • Especially for You (제이슨 도노반과의 듀엣)
  • My Secret Heart
  • I'm Over Dreaming (Over You)
  • Tears on My Pillow
  • Heaven and Earth
  • Enjoy Yourself


'''2012년 일본 재발매반 보너스 트랙'''[45]

  • Just Wanna Love You
  • We Know the Meaning of Love
  • Hand on Your Heart (The Great Aorta Mix)
  • Wouldn't Change a Thing (Your Thang Mix)
  • Never Too Late (Extended)
  • I'm Over Dreaming (Over You) (Extended Version)
  • Tears on My Pillow (12" 버전)

7. 1. 표준 버전

《'''Enjoy Yourself'''》의 표준 버전은 마이크 스톡, 맷 에이트킨, 피트 워터맨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 및 편곡한 10곡을 수록하고 있다.[103] "Tears on My Pillow"는 실베스터 브래드퍼드와 알 루이스가 작사했다.[103]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 거짓된 하트 (Hand On Your Heart)[103]
  • 언제나 러브 유 (Wouldn't Change A Thing)[103]
  • Never Too Late[103]
  • Nothing To Lose[103]
  • Tell Tale Signs[103]
  • My Secret Heart[103]
  • I'm Over Dreaming (Over You) (드리밍)[103]
  • Tears On My Pillow[103]
  • Heaven And Earth[103]
  • Enjoy Yourself[103]


미국반에는 6번째 트랙으로 제이슨 도노반과의 듀엣곡인 에스페셜리 포 유가 수록되어 있다.[104]

7. 2. 북미 버전

북미 버전 ''Enjoy Yourself''에는 6번 트랙에 제이슨 도노반과의 듀엣곡 "Especially for You"가 추가되었다.[104] 앨범의 총 길이는 36분 57초이다.[104]

번호제목길이
1Hand on Your Heart3:51
2Wouldnt Change a Thing3:14
3Never Too Late3:22
4Nothing To Lose3:21
5Tell Tale Signs2:26
6Especially for You (제이슨 도노반과의 듀엣)3:59
7My Secret Heart2:41
8I'm Over Dreaming (Over You)3:23
9Tears on My Pillow2:30
10Heaven and Earth3:44
11Enjoy Yourself3:45


7. 3. 2012년 일본 재발매반 보너스 트랙

2012년 일본 재발매반에는 7개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45] 추가된 곡들은 "Just Wanna Love You", "We Know the Meaning of Love", "Hand on Your Heart (The Great Aorta Mix)", "Wouldn't Change a Thing (Your Thang Mix)", "Never Too Late (Extended Mix)", "I'm Over Dreaming (Over You) (Extended Mix)", "Tears on My Pillow (12\" Version)"이다.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harvnb
[45]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4] harvnb
[6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harvnb
[45]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4] harvnb
[65] harvnb
[66] harvnb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인용
[72] 인용
[73] 인용
[74] 뉴스 Recent Releases Calgary Herald 1990-02-08
[75] 인용
[76] 인용
[77] 인용
[78] 인용
[79] 인용
[80] 인용
[81] 인용
[82] 인용
[83] 인용
[84] 인용
[85] 인용
[86] 인용
[87] 인용
[88] 인용
[89] 인용
[90] 인용
[91] 인용
[92] 인용
[93] 인용
[94] 인용
[95] 인용
[96] 인용
[97] 인용
[98] 인용
[99] 인용
[100] 인용
[101] 인용
[102] 인용
[103] 인용
[104] 인용
[105] 인용
[106] 문헌 PWL Cherry Red 2015a
[107] 간행물 Top 3 Albums in Europe https://worldradiohi[...] 1989-11-25
[108] 문헌 Hung Medien H
[109] 문헌 "Music & Media 1989a"
[110] 문헌 Pennanen 2006
[111] 문헌 "InfoDisc B"
[112] 문헌 GfK Entertainment Charts
[113] 문헌 "Music & Media 1989b"
[114] 문헌 Salaverrie 2005
[115] 문헌 Hung Medien J
[116] 문헌 Hung Medien G
[117] 문헌 Official Charts Company C
[118] 문헌 Lazell 2002
[119] 문헌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A
[120] 문헌 "Music & Media 1989c"
[121] 문헌 "InfoDisc A"
[122] 문헌 "Music Week 1990"
[123] 문헌 "Music & Media 1990"
[124] 문헌 "Music Week 1990"
[125] 문헌 "InfoDisc E"
[126] 문헌 IFPI Hong Kong
[127] 문헌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128] 문헌 Okamoto 2006
[129] 문헌 Salaverrie 2005
[130] 문헌 IFPI Switzerland
[131] 문헌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132] 문헌 Pymble 1993
[133] 문헌 PWL 1993
[134] 문헌 PWL 1995
[135] 문헌 Mushroom 1998
[136] 문헌 PWL Cherry Red 2015b
[137] 웹사이트 Kylie Minogue|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3-01-18
[138] 웹사이트 Kylie Minogue - Enjoy Yourself https://www.discogs.[...] Discogs 2019-09-28
[139] 웹사이트 カイリー・ミノーグのアルバム売上TOP12作品|ORICON NEWS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3-01-18
[140] 웹인용 Neo Music Communication IZM http://www.izm.co.kr[...] 2021-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